발표 작품

박동미 시세계

맑은향기 1 2018. 8. 17. 11:28

 

 

  풍경소리 / 박동미

 

눈꽃보다 가벼운 그리움 들고

맑은 소리내어 봅니다

 

다가갈 곳 다한 바람처럼

가슴 두드리는 환한 마음

 

몇 구절 햇빛으로

내 검게 번져 읽을 수 없는 날

 

하얗게 지워줍니다

내 창가에서 떨며 회색으로 저물 때

 

흔들리는 그들의 여읜 어깨

한결 같은 그 마음 겹도록

 

그대 굴레 안에

갇히겠습니다

 

언젠가는

고기떼 햇빛 속에 가득 내리겠지요

 

 

[풍경소리 전문] 인용한 시는 풍경소리를 의인화하여 감정이입을 하고 있는 작품이다.

이 작품의 분위기는 엄숙하다.

경어체의 어미에서 느낄 수 있는 박동미의 사랑은 종교적이다.

지고지순한 사랑이다. 그 지고지순한 사랑에서 박동미 시인은 구원을 얻고 있다.

그러므로 그의 언어는 엄숙하고 경건한 분위기를 거느리고 있다.

그의 그리움은  "눈꽃보다 가벼운 그리움" 이라 했다.

"눈꽃" 이"그리움"을 만나 단순한 시각적 이미지를 벗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.

시각적 이미지와 촉각적 이미지가 결합되어 사랑의 순결성과 절대성을 효과적으로

표현하고 있다 하겠다. 나아가 청각적 이미지인 " 맑은 소리" 로 이어지고 있어 상투성에서

벗어날 수 있었다. 풍경소리의 "맑음"은 곧 "환한 마음"으로 이어지고 이 "환한 마음" 은

"내 검게 번져 읽울 수 없는 날" 을  "하얗게 지워" 주므로 "나를 구원해 주고 있는 것이다.

이런 풍경소리는 사랑과 깨달음의 소리인 동시에 구원의복음 이다.

그러므로 "그대 굴레 안에 갇히"는 것은 속박이 아니라 또 다른 차원이 세계로 나아가는 것이다.

기서 풍경소리를 계율로 읽는다면 ㅡ

"굴레" 라는 표현에서 "계율"로 읽는다면 ㅡ"굴레" 라는 표현에서 "계율"로 읽어 주길 바라고 있는 것

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ㅡ 계율은 하나의 제약이 아니라 해방으로 가는 길이라는 것을

시인은 우리에게 은근히 깨우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.

시인은 "언젠가는/ 고기떼 햇빛 속에 가득 내리"는 날을 

"그대 굴레 안에' 갇혀 기다릴 것이라고 진지하고도 엄숙한 목소리로 다짐하고 있다.

 

 

구석본 ( 시인. 대구문협 회장 )

'발표 작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박동미 시세계  (0) 2018.08.18
박동미 시세계  (0) 2018.08.18
박동미 시세계   (0) 2018.08.17
박동미 시세계  (0) 2018.08.17
[스크랩] | 대구시인 | 봄날에 깃들다 / 박동미  (0) 2018.08.16